카테고리 없음

인플레이션 관련주 (인플레이션 헤지 방법/인플레이션 수혜주)

레디코 2021. 2. 2. 08:55

 

 

 

오늘은 인플레이션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 관련주

 

인플레이션은 물가는 오르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통화량이 확대되며,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 관련주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1) 수요 인플레이션: 수요는 늘어나는데 공급량이 늘어나지 않아 생기는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이를 과잉 유동성 공급이라고 합니다.

 

2) 비용 인플레이션: 제품의 생산비용이 오르며 제품 가격도 오르며, 전반적인 물가 상승이

생깁니다. 큰 예로 석유 값이 올라 관련 제품이 오르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위험에 대한 견해

 

인플레이션 관련주

 

1.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입장

국제통화기금인 IMF에 따르면 팬데믹 대응을 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2020년에 펼친 재정, 통화정책으로 공급한 규모는

2경 1100조로 추산된다고 밝혔습니다.

 

천문학적인 돈이 풀린 상황인건데요.

백신 보급으로 경제가 다시 괜찮아지면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소비는 증가하는데 팬데믹으로 인해 축소된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면

물가 상승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인플레이션 관련주, 인플레이션 헤지 , 인플레이션 수혜주를 찾아보아

대비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겠죠.

 

 

인플레이션 관련주

 

2. 인플레이션 위험은 과장이라는 입장

올해 2분기께 3% 안팎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할 수는 있지만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효과지 3분기부터는 정상화될거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020년 8월 평균물가목표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는데요.

이는 물가상승률이 꾸준히 2%를 달성해야 금리인상을 검토하겠다는 뜻입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은 실물경기가 살아나야 가능한데

팬데믹으로 위축된 수요가 완전히 회복되기는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의 실업률은 2020년 12월 6.7%였습니다. 미국 고용시장의 큰 비중인

서비스 고용이 백신 보급에도 회복되려면 시간이 걸리는 상황입니다.

 

 

인플레이션 헤지 투자는 무엇이 있을까?

인플레이션에 대한 위험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입장이 있긴 하지만

인플레이션 관련주,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에 대해 미리 알아보고 공부하는 것은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인플레이션 관련주

 

 

1. 금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에 대표적인 것은 금이라고 합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입니다.

화폐 가치가 떨어져도 값이 유지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물가가 상승할 때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 가격이 다른 자산 가격보다 강세를 보이는 경우는 인플레이션이 2% 이상이 되는 국면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율이 2%를 넘어선 시점 이후 주식 대비 금 가격 비율은 가파르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합니다.

 

 

인플레이션 관련주

 

2. 원자재: 구리, 니켈, 원유

경기가 회복되고 활기를 띠면 원자재의 수요가 늘고 해당 원자재 가격이 상승 기류를 타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리의 경우, 가정용 제품,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전기차는 내연자동차 대비 3배, 신재생에너지 생산에는 기존 에너지 대비 12배 많은 구리가 사용됩니다.

 

니켈 또한 전자제품, 건축부품,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됩니다.

 

원유도 경기 민감 원자재라고 합니다.

 

즉 인플레이션 관련주로 금, 원자재 관련주가 있는 것이네요.

 

이외에도 인플레이션 수혜를 볼 수 있는 큰 업종은 무엇이 있을까요

기대 인플레이션이 오를 때 소재, 금융, 산업재 등 경기에 민감한 업종 주가가 뛰었다고 합니다.

철강, 화학을 비롯한 소재 업종 상승세 있을 수 있는거죠.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는데요.

인플레이션이 현재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 많지만

언제쯤 그 인플레이션이 오는지, 어떤 지표가 뛰면 인플레이션을 대비해야하는지

공부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